2025.06.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이천시 자원봉사센터, 환경의 날 맞이 플로깅 활동 펼쳐

이엠(EM) 흙공 던지며 복하천 수질정화에 앞장

이천시 자원봉사센터, 환경의 날 맞이 플로깅 활동 펼쳐
▲ 이천시 자원봉사센터, 환경의 날 맞이 플로깅 활동 펼쳐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이천시 자원봉사센터는 6월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복하천 수변공원에서 플로깅 활동을 펼쳤다. 이 플로깅 행사는 3년 연속으로 진행되는 행사로 이날은 자원봉사자 100여 명 참여했다.

 

행사에는 이천시니어클럽, 이천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이천시초등학부모폴리스연합대, 파랑새봉사단, 이천축협아카데미, 축협부녀회, 창전민원봉사회, 승가원 자비복지타운, 대한적십자사 구만리봉사회 엘리엘동산(토브주간보호센터), 이천연예문화예술공연단, 이천사랑봉사단, 대한어머니회이천시지회, 이천사랑봉사단, 소비자시민모임, 기업 에이에스엠엘(ASML) 등 다양한 단체와 기업이 참여했다.

 

자원봉사자들은 개장을 앞둔 어린이 물놀이장 주변을 비롯한 수변공원을 돌며 하천 변 쓰레기를 줍는 등 환경정화 활동을 펼쳤고 특히 하천 수질 개선과 악취 저감을 위한 이엠(EM) 흙공을 직접 만들어 보는 체험과 미리 만들어진 발효된 흙공을 복하천에 던지며 환경의 날의 의미와 중요성을 되새겼다.

 

활동에 참여한 한 자원봉사자는 “회원들과 플로깅을 통해 환경보호에 동참할 수 있어 뜻깊었으며 일상에서도 일회용품 줄이기 등 환경을 지키는 방법을 찾아 실천해야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미선 센터장은 “플로깅과 이엠(EM) 흙공 던지기 활동은 단순한 정화 활동을 넘어 지역 공동체가 환경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행동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환경 캠페인과 프로그램을 통해 깨끗한 환경조성을 위한 지속 가능한 실천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재)이천시자원봉사센터는 투명 페트병 모으기 캠페인과 관고전통시장 고객쉼터에 공유 장바구니 함을 설치하여 폐현수막을 활용한 장바구니를 제작·배포하는 등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환경 프로젝트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신기사

더보기
1 / 10

정치·경제

더보기
안산시의회, 27일 297회 정례회 2차 본회의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 나서...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안산시의회가 27일 제297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개최해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을 실시했다. 시의회는 앞서 지난 2일부터 정례회를 열어 안건 심사 및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한 가운데 이날 본회의에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이 각각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에 나서 시정 현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시 집행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한명훈 의원은 이번 정례회에 재상정된 ‘2025년 수시분 안산시 공유재산관리 계획안’을 주제로 시정질문을 진행했다. 그는 본 질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동 90블록 개발 과정에서 초등학교 1곳과 고등학교 1곳이 건립되지 못한 것과 90블록 상업 용지 개발이 미흡한 것 등 과거 사례의 문제점을 들었다. 이어 이번 안산시 공유재산관리계획안 재상정 과정에서 의회와 집행부 간의 신뢰가 깨졌고 시민의 실질적 요구도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짚었다. 특히 구 해양과학기술원 부지와 89블록의 경우 공유재산관리계획안에 아파트 건립 중심의 계획만 담겼고 의회가 요구했던 학교용지 부족과 생활 기반시설 미흡, 주민 의견 미반영

사회

더보기

라이프·문화

더보기
안산시의회, 27일 297회 정례회 2차 본회의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 나서...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안산시의회가 27일 제297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개최해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을 실시했다. 시의회는 앞서 지난 2일부터 정례회를 열어 안건 심사 및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한 가운데 이날 본회의에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이 각각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에 나서 시정 현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시 집행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한명훈 의원은 이번 정례회에 재상정된 ‘2025년 수시분 안산시 공유재산관리 계획안’을 주제로 시정질문을 진행했다. 그는 본 질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동 90블록 개발 과정에서 초등학교 1곳과 고등학교 1곳이 건립되지 못한 것과 90블록 상업 용지 개발이 미흡한 것 등 과거 사례의 문제점을 들었다. 이어 이번 안산시 공유재산관리계획안 재상정 과정에서 의회와 집행부 간의 신뢰가 깨졌고 시민의 실질적 요구도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짚었다. 특히 구 해양과학기술원 부지와 89블록의 경우 공유재산관리계획안에 아파트 건립 중심의 계획만 담겼고 의회가 요구했던 학교용지 부족과 생활 기반시설 미흡, 주민 의견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