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포천시, 2025년 제1회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개선위원회 회의 개최

복지 종사자 위한 실효성 있는 처우개선 방안 논의

포천시, 2025년 제1회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개선위원회 회의 개최
▲ 포천시, 2025년 제1회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개선위원회 회의 개최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포천시는 지난 27일 시청 신관 회의실에서 ‘2025년 제1회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개선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사회복지 종사자의 복지 향상을 위한 신규 사업을 심의 및 의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총 12명의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신규 위원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포천시 사회복지 종사자의 지위 향상과 복리후생 확대를 위한 주요 안건을 논의했다.

 

포천시는 지난해 9월 ‘포천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개선위원회’를 구성하고, 설문조사와 표적집단면접(FGI), 정책토론회 등을 통해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며 실효성 있는 처우개선 사업을 수립해 왔다.

 

특히, 올해 △독감 예방접종 지원 활성화 △심리치료 지원 △자기개발 지원 등 사회복지 종사자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주요 사업을 추진하며, 실효성 있는 처우개선 정책을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복지서비스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논의했다.

 

문화복지국장인 이윤행 위원장은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개선은 곧 포천시민을 위한 복지 서비스의 질 향상으로 직결된다”라며, “앞으로도 현장 종사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최신기사

더보기
1 / 10

정치·경제

더보기
안산시의회, 27일 297회 정례회 2차 본회의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 나서...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안산시의회가 27일 제297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개최해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을 실시했다. 시의회는 앞서 지난 2일부터 정례회를 열어 안건 심사 및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한 가운데 이날 본회의에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이 각각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에 나서 시정 현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시 집행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한명훈 의원은 이번 정례회에 재상정된 ‘2025년 수시분 안산시 공유재산관리 계획안’을 주제로 시정질문을 진행했다. 그는 본 질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동 90블록 개발 과정에서 초등학교 1곳과 고등학교 1곳이 건립되지 못한 것과 90블록 상업 용지 개발이 미흡한 것 등 과거 사례의 문제점을 들었다. 이어 이번 안산시 공유재산관리계획안 재상정 과정에서 의회와 집행부 간의 신뢰가 깨졌고 시민의 실질적 요구도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짚었다. 특히 구 해양과학기술원 부지와 89블록의 경우 공유재산관리계획안에 아파트 건립 중심의 계획만 담겼고 의회가 요구했던 학교용지 부족과 생활 기반시설 미흡, 주민 의견 미반영

사회

더보기

라이프·문화

더보기
안산시의회, 27일 297회 정례회 2차 본회의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 나서...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안산시의회가 27일 제297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개최해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을 실시했다. 시의회는 앞서 지난 2일부터 정례회를 열어 안건 심사 및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한 가운데 이날 본회의에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이 각각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에 나서 시정 현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시 집행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한명훈 의원은 이번 정례회에 재상정된 ‘2025년 수시분 안산시 공유재산관리 계획안’을 주제로 시정질문을 진행했다. 그는 본 질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동 90블록 개발 과정에서 초등학교 1곳과 고등학교 1곳이 건립되지 못한 것과 90블록 상업 용지 개발이 미흡한 것 등 과거 사례의 문제점을 들었다. 이어 이번 안산시 공유재산관리계획안 재상정 과정에서 의회와 집행부 간의 신뢰가 깨졌고 시민의 실질적 요구도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짚었다. 특히 구 해양과학기술원 부지와 89블록의 경우 공유재산관리계획안에 아파트 건립 중심의 계획만 담겼고 의회가 요구했던 학교용지 부족과 생활 기반시설 미흡, 주민 의견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