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구름조금동두천 22.8℃
  • 맑음강릉 20.4℃
  • 맑음서울 22.6℃
  • 구름조금대전 23.3℃
  • 구름조금대구 20.3℃
  • 맑음울산 18.2℃
  • 흐림광주 23.7℃
  • 구름조금부산 18.7℃
  • 구름많음고창 22.4℃
  • 구름조금제주 22.9℃
  • 구름조금강화 21.2℃
  • 맑음보은 19.1℃
  • 구름조금금산 23.2℃
  • 흐림강진군 18.9℃
  • 맑음경주시 19.8℃
  • 구름많음거제 17.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지방자치

광명시, 광역 체납 차량 일제 단속의 날 운영

자동차세와 자동차 관련 과태료 체납 차량 일제 단속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광명시는 오는 3월 26일에 자동차세와 자동차 관련 과태료를 체납한 차량을 대상으로 일제 단속을 실시한다. 이번 체납 차량 일제 단속은 체납근절과 성실납세 분위기 조성을 목적으로 경기도 31개 시군이 동시에 실시한다.

 

이번 일제 단속에서 관내 자동차세 체납이 2건 이상 있거나 자동차 관련 과태료가 30만 원 이상 체납된 차량은 번호판 영치 대상이다. 번호판 영치는 차량 밀집 지역을 우선으로 광명시 전 지역에 걸쳐 실시되며, 특히 3회 이상 상습 체납 차량의 경우 자치단체 간 징수촉탁에 의거 전국 어느 곳에서나 실시될 수 있다.

 

번호판 영치를 사전에 방지하려면 위택스 또는 차세대 ARS를 통해 체납 내역을 확인하고 납부해야 한다. 사정상 납부가 어려운 납세자는 광명시청 징수과 체납관리팀으로 전화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윤영덕 징수과장은 “체납 차량 단속은 상시 또는 일제 단속 등의 형태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으로 이번 일제 단속 이후에도 체납 차량은 언제든지 번호판이 영치될 수 있다”며 “특히 상습적인 체납 차량과 범죄에 악용될 수 있는 대포 차량은 강제 견인과 공매 등 강력한 행정처분을 실시하여 과세형평을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기사

더보기

정치·경제

더보기
성남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 조우현 위원장, 성호임시시장 상인 보호 및 지역난방 인프라 확보 촉구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성남시의회 조우현 의원(중앙동·금광동·은행동)은 제30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자유발언을 통해, 성호임시시장 상인 보호와 원도심 에너지복지 실현을 위한 지역난방 기반시설 확보를 강력히 촉구했다. 조 의원은 “성호임시시장이 지난 3월 31일 존치기간 만료로 운영이 종료됐음에도, 성남시는 ‘행정처분 유예’라는 소극적 대응에 그치며 상인들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시시장은 건물(L건설)과 토지(K건설)의 소유가 분리된 구조로, L건설이 약 110억 원의 토지사용료를 미납하면서 K건설이 토지사용승낙을 거부하고 주차장에 펜스를 설치해 상인들의 영업을 가로막고 있다. 조 의원은 “상인들은 현재 고발 위협, 벌금 부담, 화재보험 미가입 등 생존권을 위협받는 복합적인 위기에 놓여 있다”며 성남시의 책임 있는 개입을 촉구하고, ▲토지사용승낙 중재 ▲영업 지속 보장 안내 ▲고발 유예의 공식 문서화 ▲현대화 사업의 로드맵 및 지연 사유 공개 ▲화재보험 등 안전 확보 방안 마련 등을 요구했다. 또한 지역난방 보급률이 낮은 원도심의 에너지복지 격차 해소를 위해, ▲성남시

사회

더보기

라이프·문화

더보기
성남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 조우현 위원장, 성호임시시장 상인 보호 및 지역난방 인프라 확보 촉구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성남시의회 조우현 의원(중앙동·금광동·은행동)은 제30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자유발언을 통해, 성호임시시장 상인 보호와 원도심 에너지복지 실현을 위한 지역난방 기반시설 확보를 강력히 촉구했다. 조 의원은 “성호임시시장이 지난 3월 31일 존치기간 만료로 운영이 종료됐음에도, 성남시는 ‘행정처분 유예’라는 소극적 대응에 그치며 상인들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시시장은 건물(L건설)과 토지(K건설)의 소유가 분리된 구조로, L건설이 약 110억 원의 토지사용료를 미납하면서 K건설이 토지사용승낙을 거부하고 주차장에 펜스를 설치해 상인들의 영업을 가로막고 있다. 조 의원은 “상인들은 현재 고발 위협, 벌금 부담, 화재보험 미가입 등 생존권을 위협받는 복합적인 위기에 놓여 있다”며 성남시의 책임 있는 개입을 촉구하고, ▲토지사용승낙 중재 ▲영업 지속 보장 안내 ▲고발 유예의 공식 문서화 ▲현대화 사업의 로드맵 및 지연 사유 공개 ▲화재보험 등 안전 확보 방안 마련 등을 요구했다. 또한 지역난방 보급률이 낮은 원도심의 에너지복지 격차 해소를 위해, ▲성남시